반응형
금일 학습사항
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2. 데이터 정의어 (DDL)
3. 오라클 데이터 타입
각 학습별 상세내용
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DDL - CREATE, ALTER, DROP, TRUNCATE
DML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DCL - GRANT, REVOKE
TCL - COMMIT, ROLLBACK, SAVEPOINT
2. 데이터 정의어 (DDL) |
데이터 정의어
▶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테이블 구조 또는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 주요 명령어로는 CREATE, ALTER, DROP, TRUNCATE 등이 있다.
SQL문 | 설명 |
CREATE | -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
DROP | -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 - 테이블 삭제 시 해당 테이블 참조되는 제약조건을 우선 삭제해야함 |
ALTER | -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변경 - 테이블 컬럼 추가, 이름 변경 등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 |
3. 오라클 데이터타입 |
DATA TYPE | 설명 |
VARCHAR(n) | 가변 길이 문자 데이터 (1 ~ 4000 byte) |
CHAR(n) | 고정 길이 문자 데이터 (1 ~ 2000 byte) |
NUMBER(p, s) | 전체 p자리 중 소수점 이하 s자리 (p : 1 ~ 38, s : -84 ~ 127) |
DATE | 날짜 데이터 (7 byte, BC 4712년 1월 1일 ~ AD 9999년 12월 31일) |
LONG | 가변 길이 문자 데이터 (1 ~ 2 Gbyte) |
CLOB | 단일 바이트 가변 길이 문자 데이터 (1 ~ 4 Gbyte) |
RAW(n) | n byte의 원시 이진 데이터 (1~ 2000) |
LONG RAW | 가변 길이 원시 이진 데이터 (1 ~ 2 Gbyte) |
BLOB | 가변 길이 이진(binary) 데이터 (1 ~ 4 Gbyte) |
BFILE | 가변 길이 외부 파일에 저장된 이진 데이터 (1 ~ 4 Gbyte) |
반응형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5.01.17(금) - database 학습 (0) | 2025.02.03 |
---|---|
[TIL] 2025.01.16(목) - database 학습 (0) | 2025.02.03 |
[TIL] 2025.01.14(화) - database 학습 (0) | 2025.01.31 |
[TIL] 2025.01.13(월) - python 학습 (0) | 2025.01.24 |
[TIL] 2025.01.10(금) - python 학습 (0) | 2025.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