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진행사항
1. python IDE
2. 마크다운 언어란?
3. python 학습
- 주석처리
- 들여쓰기
- 사칙연산
각 진행사항별 상세내용
1. python IDE
(1) IDE란?
- IDE는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약어이며,
소프트웨어 개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통합개발환경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이다.
- 코드 편집기, 디버거, 컴퍼일러, 인터프리터 등을 포함하고 제공한다.
(2) python IDE
- Jupyter notebook
- Google colaboratory
- PyCharm
- VSCode
* IDE 및 Python IDE의 각 특장점 등을 정리하여 따로 링크첨부해보자!! *
2. 마크다운언어란?
- 마크다운 언어(Markdown Language)는 서식이 있는 텍스트 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 문서 작성시 볼드체, 글자크기 등을 편집기의 버튼 혹은 단축키 등을 사용하지 않고
해당 문법을 텍스트로 작성하여 표현할 수 있다. 아래에 2가지 예시와 같이 사용 할 수 있다.
1. 헤더
(1) 큰 제목 : # 을 사용한다. ex. # 가장 큰 제목
(2) 소 제목 : ## 을 사용한다. ex. ## 소 제목
2. 강조
(1) 이탤릭체 : *텍스트* 또는 _텍스트_
(2) 볼드체 : **텍스트** 또는 __텍스트__ (더블언더바)
* 블로그 글도 마크다운으로 작성가능한데 언젠간 마크다운 편집기로 다시 작성을 해봐야겠다.
전에 처음 블로그 글 작성하면서 알록달록 꾸며보려고 마크다운편집기로 작성하곤 했는데
여유가 생기면 다시 해봐야겠다. 티스토리는 지금이렇게 작성하면서 나름 깔끔하게 정렬을 해도
글 올리고 보면 요상해진다ㅠㅠㅠㅠ
3. Python 학습
(1) 주석처리
1) # 사용
- 한 줄 주석처리 할 때 사용한다.
- 여러 줄 드래그 해서 사용 할 수도 있다!
- 단축키는 Windows 환경에서는 Ctrl + / 이고 Mac 환경에서는 command + /
# print("Hello World!")
# 안녕하세요!
2) """ """ 사용
- 여러 줄 주석처리 할 때 사용한다.
- 단, 구글 코랩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VSCode에서는 적용 된다.)
"""
print("Hello World!")
안녕하세요!
"""
* """ """ 의 2가지 기능
a. 여러줄 주석처리 (위의 내용과 같다.)
b. 여러줄의 문자열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
- 문자열의 단락을 나눠야할 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엄청 긴 문자열의 경우 가독성을 위해서)
hello = """hello python!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hello world!"""
(2) 들여쓰기
- 파이썬에서는 기본 4칸을 원칙으로 한다.
* 내가 제일 처음 파이썬을 학습하면서 제일 당황했던 것 중 하나가 들여쓰기!
다른 언어의 경우 함수 및 메서드 등 구분을 {} 괄호, ;(세미콜론) 등을 사용했었다.
파이썬의 경우 들여쓰기를 통해 구분한다!
# c의 예시
void main()
{
printf("Hello World!");
}
# python의 예시
def hello():
print("Hello World!")
- 위 코드블럭과 같다. 들여쓰기가 좀 이상하게 표현되긴 했는데
- 요점은 들여쓰기로 구분한다는 것!!
- 들여쓰기의 장점
a. 기본적으로 라인들이 정렬되어 있어 가독성이 좋다!
b. 들여쓰기만 봐도 라인들의 시작과 끝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3) 사칙연산
1) 덧셈 : +
2) 뺄셈 : -
3) 곱셈 : *
4) 나눗셈
a. / : 우리가 알 고 있는 기본적인 나눗셈의 기호, 실수값으로 반환함
ex.
print(5/2) # 출력 : 2.5
b. // : 몫의 값만 반환 함
ex.
print(5/2) # 출력 : 2
c. % : 나머지의 값만 반환 함
ex.
print(5/2) # 출력 : 1
d. divmod(a, b) : a를 b로 나눈 몫과 나머지의 값을 튜플로 반환 함
ex.
print(divmod(5, 2)) # 출력 : (2, 1)
5) 거듭제곱
a. **
ex.
print(2 ** 3) # 출력 : 8 (2^3)
b. pow(a, b) : a의 b승 값을 반환 함. **와 같은 기능을 한다.
ex.
print(pow(2, 3)) # 출력 : 8 (2^3)
글을 정리하며...
회사에서 C#, C++로 업무 진행하다가 갑자기 장비제어까지 맡게된 적이 있었다... 그때 넘겨받은 코드의 언어 중 하나가 python...
그때까지만 해도 python 언어의 존재만 대충 알고 있었는데 처음 코드를 접하고는 당황을 금치 못했었다.
이게 된다고? 대체 왜지? 뭐지? 였었다. 자료형 선언이며 들여쓰기며... ????
여튼 매일 야근하면서 python 학습도 하고 코드 분석도 하다보니 다행히 금방 익히긴 했는데 문제는 원래 작업하던 C#, C++ 코드에서도 타입을 안 쓰거나 python 작업할때 타입을 쓰거나 혼용하고 아주 난리긴했었다 헿 :)
그리고 그땐 빨리 업무를 익혀야 했었어서 업무에 당장 필요로한 문법만 대충! 얕고! 빠르게! 공부했었었다.
최근에 또 따로 공부해보려고 책 사서 공부하고 정리하고 블로그 글까지 쓰긴했었지만, 사업일로 바빠서 또 안 쓰다 보니 다 까먹어버렸었다.
이번 기회에 깊고! 느리게(조금은 빠르게!)! 학습해서 완벽하게 내것으로 만들어야 겠다. 그리고 꾸준히 사용해봐야지...
교육 받으면서 많이 느꼈던게 하나 있는데, 회사일에 지쳐 퇴근하면 딱히 자기개발을 안 했던게 조금 후회되긴하더라.
이번에 교육 받으면서 프로그래머스라든지 여기저기 계정만들기 시간이 있었는데 대부분 이미 가입이 되어있었다... 가입만 하고 활동은 0
미래의 내가 또 후회를 하지 않도록 이젠 좀 더 개발자스럽게 열심히 살아보자!!!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5.01.06(월) - python 학습 (0) | 2025.01.12 |
---|---|
[TIL] 2025.01.03(금) - python 학습 (0) | 2025.01.05 |
[TIL] 2025.01.03(금) - git 학습 보충 (0) | 2025.01.04 |
[TIL] 2024.12.31(화) - git 학습 (0) | 2025.01.02 |
[TIL] 2024.12.30(월) - Homebrew 설치 및 git (0) | 2024.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