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0

[기초 Lv.0-Python]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4 - 연산, 조건문 ▶ 문제1 - n의 배수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937▶ 풀이1def solution(num, n): return 1 if num % n == 0 else 0★ 풀이노트 · num이 n의 배수이려면 num을 n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여야 한다. · 즉, num % n == 0 일 때 num은 n의 배수라고 할 수 있다.▶ 풀이2def solution(num, n): if num % n == 0: return 1 else: return 0★ 풀이노트 · 풀이1의 코드를 좀 더 정석? 으로 풀어보았다. · 풀이1이 간결하기는 하나, 협업을 위해서나 나중의.. 2025. 2. 10.
[macOS] Clipy - 클립보드 확장 프로그램 드디어 설치한 Clipy... 여태 어떻게 버텼지? 윈도우 데탑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는게 화면분할 외에도 클립보드? 복붙한 번에 복사 왕창해서 한 번에 붙여넣기를 왕창 해야 하는데맥에서는 안 되더라... 그래서 하나하나 복사하고 붙여넣기를 반복 했었는데쓸만한거 찾아놓고는 이제야 드디어 설치했다. 나란 ㄴㅎ 설치 설치링크 : https://clipy-app.com/ ClipyClipboard extension app for macOSclipy-app.com 위 링크에 접속해서 다운로드 하면 된다.다운 받은 .dmg 파일 실행시키고 응용 프로그램에 옮기면 끝! 사용법[단축키]▶ 복사 : cmd + c (복사할 때는 동일하다.)▶ 붙여넣기 : cmd + shift + v History : 복사내역들? 10개씩.. 2025. 2. 10.
[TIL] 2025.02.09(일) - AWS 학습 ▶ 오늘 공부한 내용들소플의 처음만난 AWS 복습 (1강 ~ 10강)  ★ 새로 알게된 내용오늘 AWS 관련 복습을 하면서 웬만한 용어들을 다 이해를 하였다.EC2, ELB, EBS, S3 등... 어떻게 보면 AWS가 자체적인 명칭?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일 뿐이지 AWS의 서비스 대부분은 한 번쯤 들어보고 경험해 봤던 것들이였다.서비스명만 보고 지레 겁을 먹었었는데 생각보다 별거? 아니였다. ★ 어려웠던 내용학습하면서 실습을 진행하긴 했는데 아직까진 책 없이는 확신이 없다.아마 과금이 걸려있어서 더 그런 것 같다 😭 피같은 내 돈...실습은 여러번 반복하면서 익혀나가야겠다. 그리고 계속 쓰다보면 익숙해지지 않을까 ㅎ ★ 오늘의 느낀점!확실히 책은 2회독부터 이해가 되기 시작하는 것 같다.어제까지만.. 2025. 2. 10.
[TIL] 지금까지 작성한 TIL을 되돌아보며... 문득 내가 지금까지 작성한 TIL 글들과 개념 정리 글들의 차이점이 뭘까하고 생각해봤다.결론은 '내가 작성한 TIL 글들 = 개념 정리 글들' 이였다. 그래서 TIL을 작성할 때마다 내용이 길어지고 길어지다보니 매일 작성할 수가 없었고 미뤄지고...그리고 작성할 때마다 이건 TIL 카테고리보다 개념정리 카테고리가 좀 더 맞지 않나?혹은 개념정리 카테고리에도 같은 내용으로 글을 작성하게 될 것 같은데 이게 맞나 하는 생각을 여러번 하긴 했었다. 이 모든 문제?가 내가 TIL에 모든걸 때려넣으려고 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 같다.... 오늘 AWS 복습하다가 TIL 작성할 생각을 하다보니 이것은 따로 개념 정리를 하는게 맞지 않나 하면서 뭐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보니 여기까지 왔다. 구글에 TIL 작성법도 다시 .. 2025. 2. 9.
[기초 Lv.0-Python]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3 - 연산 ▶ 문제1 - 문자열 섞기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942▶ 풀이def solution(str1, str2): answer = '' for i in range(len(str1)): answer += ''.join([str1[i], str2[i]]) return answer★ 풀이노트 · 두 문자열이 순차적으로 더해지기에, 인덱스를 사용하여 설계했다. · line 4 : 두 문자열의 길이가 동일하기에 둘 중 아무 변수의 길이만큼 반복문을 돌렸다. · line 5 : 각 변수의 인덱스의 값을 join하여 변수 answer에 추가해준다. (join().. 2025.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