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IL21

[TIL] 2025.01.24(금) - Linux 학습 금일 학습내용 1. 기본적인 명령어 2. 명령어의 구조 3. Input/Output 각 학습별 상세내용1. 기본적인 명령어▶ cal : 달력보기▶ clear : 터미널 내용 지우기▶ history : 터미널 명령 입력 히스토리 보기▶ echo : 출력▶ date : 날짜보기▶ man, help : 명령어 정보 확인 (명령어마다 man으로만 확인, help로만 확인, man/help 둘다 확인으로 나뉜다.) 2. 명령어의 구조① 리눅스 명령은 'CommandName -options input' 의 구조를 가진다.② 일부 명령에는 긴 형식(long form)과 짧은 형식(short form) 옵션이 있다.    ▶ 이때, 긴 형식 옵션은 대시 2개(--), 짧은 형식 옵션은 대시 1개(-)를 옵션앞에 붙여준.. 2025. 2. 3.
[TIL] 2025.01.17(금) - database 학습 금일 학습사항 1. SQL 문법들 각 학습별 상세내용1. SQL 문법들MOD▶ MOD(x, y)▶ x에서 y를 나눈 나머지값을 반환하는 함수▶ 홀수의 경우 2로 나누어주게 되면 1이 반환, 짝수의 경우 0이 반환▶ 이 점을 활용하여 홀수, 짝수 조건을 걸 수 있다.짝수 예)SELECT * FROM TABLE_NAME WHERE MOD(INDEX, 2) = 0홀수 예)SELECT * FROM TABLE_NAME WHERE MOD(INDEX, 2) = 1★ 'INDEX % 2 = 0' 혹은 'INDEX % 2 = 1' 사용해도 된다.짝수 예) SELECT * FROM TABLE_NAME WHERE INDEX % 2 = 0;홀수 예) SELECT * FROM TABLE_NAME WHERE INDEX % 2 =.. 2025. 2. 3.
[TIL] 2025.01.16(목) - database 학습 금일 학습사항 1. DML 기초 (테이블 생성, 데이터 생성) 2. DML 기초 (데이터 조회) 3. DML 기초 (데이터 업데이트) 각 학습별 상세내용1. DML 기초 (테이블 생성, 데이터 생성)USE데이터 베이스 선택 및 사용  ▶ USE 데이터베이스명  예) USE test_db;  ★ 무언갈 하기 전에 USE 명령을 사용하면 좋을 듯! 아니면 테이블 꼬일 가능성 58000% CREATE테이블 생성 (전체 컬럼, 일부 컬럼 가능)  ▶ INSERT INTO (컬럼) VALUES (데이터) → 데이터 생성 (기본문)  예) INSERT INTO users (username, age) VALUES ('john_lee', 25);다수의 데이터를 넣을 수 있음 (전체 컬럼, 일부컬럼 가능)  ▶ INSE.. 2025. 2. 3.
[TIL] 2025.01.15(수) - database 학습 금일 학습사항 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2. 데이터 정의어 (DDL) 3. 오라클 데이터 타입 각 학습별 상세내용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DDL - CREATE, ALTER, DROP, TRUNCATEDML - SELECT, INSERT, UPDATE, DELETEDCL - GRANT, REVOKETCL - COMMIT, ROLLBACK, SAVEPOINT 2. 데이터 정의어 (DDL)데이터 정의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테이블 구조 또는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주요 명령어로는 CREATE, ALTER, DROP, TRUNCATE 등이 있다.SQL문설명CREATE-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DRO.. 2025. 1. 31.
[TIL] 2025.01.14(화) - database 학습 금일 학습사항 1. 데이터베이스란? 2. RDMBS 3. 대표적인 RDBMS 4.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각 학습별 상세내용1. 데이터베이스란?데이터베이스 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창고▶ 종류 : 관계형DB, 객체형DB 등 데이터베이스 특징▶ 저장된 데이터는 실시간 접근성이 보장된다.▶ 갱신, 삽입, 삭제 등의 연산에 의해 내용이 동적으로 변경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을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2. RDBMSRDBMS란?▶ 표 형태로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용어정리]SQL▶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그래밍 언어트랜잭션(Transaction)▶ DB 하나의 작업 단위PK(Primary Ke.. 2025. 1. 31.
반응형